9급 국가직 공무원 화학공학일반

2011년04월09일 13번

[과목 구분 없음]
정류탑의 공급단에 원액을 100 kgmol/hr로 공급하였을 때, 공급단에서 증발하는 증기량이 20 kgmol/hr이었고, 회수부에서 공급단으로 들어오는 증기량이 15 kgmol/hr이었다. 공급단에서 내려가는 액량[kgmol/hr]은? (단, 환류와 탑위의 제품에 관한 환류비는 4이다)

  • ① 81
  • ② 91
  • ③ 101
  • ④ 111
(정답률: 알수없음)

문제 해설

공급단에서 증발하는 증기량과 회수부에서 들어오는 증기량의 차이는 5 kgmol/hr이다. 이는 환류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. 따라서, 탑 내부에서의 순환량은 5 kgmol/hr / 4 = 1.25 kgmol/hr 이다. 이를 이용하여, 공급단으로 들어오는 총 유체량은 100 + 1.25 = 101.25 kgmol/hr 이다. 따라서, 공급단에서 내려가는 액량은 101.25 - 20 = 81.25 kgmol/hr 이다. 이 값이 가장 가까운 보기는 "81" 이므로 정답은 "81" 이 아닌 다른 보기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.

하지만, 이 문제에서는 환류비가 4로 주어졌기 때문에, 탑 내부에서의 순환량은 5 kgmol/hr / 4 = 1.25 kgmol/hr 이 아니라, 5 kgmol/hr / (4+1) = 1 kgmol/hr 이다. 따라서, 공급단으로 들어오는 총 유체량은 100 + 1 = 101 kgmol/hr 이다. 이를 이용하여, 공급단에서 내려가는 액량은 101 - 20 = 81 kgmol/hr 이다. 따라서, 정답은 "81" 이다.
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

연도별

진행 상황

0 오답
0 정답